방출 스펙트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출 스펙트럼은 원자 내 전자가 에너지를 받아 들뜬 상태가 되었다가 다시 바닥 상태로 돌아오면서 광자를 방출할 때 나타나는 스펙트럼이다. 방출되는 광자의 파장은 에너지 준위 차이에 따라 결정되며, 각 원소는 고유한 파장의 빛을 방출하여 특징적인 선 스펙트럼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은 네온사인, 불꽃 반응, 그리고 방출 분광법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방출 분광법은 물질의 원소 조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며, 원자 및 분자의 에너지 상태 변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출분광학 - 아인슈타인 계수
아인슈타인 계수는 원자의 자발 방출(A21), 유도 방출(B21), 광자 흡수(B12) 세 가지 광-물질 상호작용을 기술하는 확률 계수로서, 원자 스펙트럼선의 형태와 세기를 결정하고 분광학, 레이저 물리학에서 활용된다. - 방출분광학 - 화학발광
화학발광은 두 화합물의 반응으로 생성된 들뜬 상태의 물질이 빛을 내며 바닥 상태로 돌아가는 현상이다. - 산란 - 비어-람베르트 법칙
비어-람베르트 법칙은 빛이 물질을 통과할 때 빛의 세기가 감소하는 정도를 설명하는 법칙으로, 흡광도는 물질의 농도와 빛이 통과하는 거리에 비례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산란 - 제동 복사
하전 입자가 다른 입자와 상호작용하며 감속될 때 방출되는 전자기파인 제동 복사는 주로 전자가 원자핵 근처를 지나갈 때 발생하며 연속적인 스펙트럼을 갖는 X선 형태로 나타나 다양한 분야와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 - 전자기파 - 자외선
자외선은 요한 빌헬름 리터가 발견한 보이지 않는 광선으로, 인체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오존층 감소로 인해 자외선 지수가 증가하여 주의가 요구된다. - 전자기파 - 지향성 에너지 무기
지향성 에너지 무기는 전자기파, 입자 빔, 음파 에너지를 집중시켜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레이저, 마이크로파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나 인체 위해성 및 윤리적 문제, 국제법 위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방출 스펙트럼 | |
---|---|
개요 | |
정의 | 원자 또는 분자가 특정 에너지를 가진 광자를 방출하여 나타나는 스펙트럼 |
발생 조건 | 고온의 기체 상태 또는 전기 방전 상태 |
특징 | 밝은 선으로 나타남, 원소 또는 분자 고유의 파장 패턴을 가짐 |
방출 스펙트럼의 종류 | |
선 스펙트럼 (Line spectrum) | 개별 원자의 전자 전이에 의해 발생, 특정 파장에서 날카로운 선 형태로 나타남 |
띠 스펙트럼 (Band spectrum) | 분자의 진동 및 회전 에너지 준위 변화에 의해 발생, 특정 파장 범위에서 띠 형태로 나타남 |
연속 스펙트럼 (Continuous spectrum) | 고체, 액체 또는 고압의 기체에서 발생, 모든 파장에서 연속적인 빛을 방출 |
방출 스펙트럼의 활용 | |
분광 분석 | 물질의 종류와 양을 정량/정성적으로 분석 |
천체 관측 | 별의 성분, 온도, 속도 등을 분석 |
환경 모니터링 | 대기 오염 물질의 종류와 농도 측정 |
산업 응용 | 반도체, 디스플레이, 조명 등의 품질 관리 |
관련 용어 | |
흡수 스펙트럼 (Absorption spectrum) | 물질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나타나는 스펙트럼 |
분광기 (Spectrometer) | 빛을 파장별로 분리하여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장치 |
플랑크 법칙 (Planck's law) | 흑체 복사 스펙트럼을 설명하는 법칙 |
2. 방출의 원리
원자 내부의 전자는 특정한 에너지 준위를 가지며, 외부에서 에너지를 흡수하면 더 높은 에너지 준위로 '들뜨게' 된다. 들뜬 전자는 다시 낮은 에너지 준위로 돌아오면서 광자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한다.
물리학에서 방출은 입자의 더 높은 에너지 양자역학적 상태가 광자의 방출을 통해 더 낮은 상태로 변환되어 빛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방출되는 빛의 진동수는 전이(transition)의 에너지에 대한 함수이다.
에너지는 보존되어야 하므로, 두 상태 간의 에너지 차이는 광자가 전달하는 에너지와 같다. 전이의 에너지 상태는 매우 넓은 범위의 주파수에서 방출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은 원자와 분자 내 전자 상태의 결합에 의해 방출된다.
물체의 빔 에미턴스는 물체가 얼마나 많은 빛을 방출하는지를 정량화하며, 스테판-볼츠만 법칙을 통해 물체의 다른 속성과 관련될 수 있다.
2. 1. 에너지 준위와 광자
원자 안의 전자가 열과 같은 에너지에 의해 들뜨면, 추가적인 에너지를 받아 더 높은 에너지 준위로 올라간다. 전자가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오면서 들뜬 상태를 벗어날 때, 에너지는 광자의 형태로 방출된다. 방출되는 광자의 파장(또는 주파수)은 전자가 이동한 두 에너지 준위 사이의 에너지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원자의 방출 스펙트럼에서 특정한 색깔만 나타나는 이유는 특정한 주파수의 빛만 방출되기 때문이다. 각 주파수는 다음 공식에 의해 에너지와 관련된다.
:
여기서 ''E''는 광자의 에너지, ''f''는 광자의 주파수, ''h''는 플랑크 상수이다. 즉, 특정 에너지를 가지는 광자만이 원자에 의해 방출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출 스펙트럼의 원리는 네온사인의 다양한 색깔과 화학적인 불꽃 반응 실험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원자가 방출할 수 있는 빛의 주파수는 원자 안의 전자가 어떤 에너지 상태에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전자가 들뜬 상태가 되면 더 높은 에너지 준위나 궤도로 올라가고, 다시 바닥 상태로 떨어질 때 빛을 방출한다.


2. 2. 원자 방출 스펙트럼
원자 방출 스펙트럼은 특정 원소에서 방출되는 빛의 주파수 분포를 나타내며, 원소마다 고유한 선 스펙트럼 형태를 보인다. 원자가 열을 받으면 전자가 들뜬 상태가 되어 더 높은 에너지 궤도로 올라간다. 이 전자가 다시 원래 궤도로 돌아오면서 에너지를 광자 형태로 방출하는데, 이때 방출되는 광자의 파장(또는 주파수)은 두 에너지 궤도 상태의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1] 이렇게 방출되는 광자들이 원소의 방출 스펙트럼을 구성한다.원자 방출 스펙트럼에서 특정한 색깔만 나타나는 이유는 특정한 주파수의 빛만 방출되기 때문이다. 각 주파수는 다음 공식에 의해 에너지와 관련된다.
:
여기서 E는 광자의 에너지, f는 광자의 주파수, h는 플랑크 상수이다. 즉, 특정 에너지를 가지는 광자만 원자에 의해 방출된다.
이러한 원자 방출 스펙트럼의 원리는 네온사인의 다양한 색깔과 불꽃 반응에서 나타나는 특정 색깔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온사인의 빨간색이나 수은의 파란색은 기체 특유의 색으로 빛나는 방전 현상으로, 분광기를 통해 보면 많은 휘선으로 나타난다. 철이나 구리 극 사이의 빛도 많은 휘선이 나타나는 선 스펙트럼이 되는데, 이는 원자 고유의 스펙트럼 때문이다.
원자가 방출하는 빛의 주파수는 전자의 상태에 의존한다. 전자가 들뜬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떨어질 때 빛이 방출되며, 이 빛의 파장은 원자 내 에너지 준위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수소의 경우, 가시광선 영역에서 여러 개의 선 스펙트럼이 나타나는데, 이는 다양한 에너지 준위로 전이하는 전자에 의해 발생한다.
각 원소는 고유한 선 스펙트럼을 가지므로, 방출 스펙트럼은 물질의 조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천문학적 분광학에서는 별의 빛을 분석하여 별의 조성을 식별하며, 불꽃 반응에서는 특정 원소가 불꽃 속에서 특유의 색깔을 나타내는 것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나트륨은 노란색, 스트론튬은 빨간색, 구리는 파란색(염화물이 존재하면 녹색) 불꽃을 만든다.
2. 3. 분자 방출 스펙트럼
분자의 에너지는 전자의 전이 외에도 회전, 진동, 진동 전자 (진동과 전자의 결합) 전이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전이는 종종 여러 개의 촘촘하게 간격을 둔 스펙트럼선 그룹으로 이어지며, 이를 스펙트럼 밴드라고 한다. 해결되지 않은 밴드 스펙트럼은 스펙트럼 연속체로 나타날 수 있다.3. 방출 스펙트럼의 종류
방출 스펙트럼은 크게 선 스펙트럼과 연속 스펙트럼으로 나뉜다.
분광기를 사용하여 기체의 빛을 스펙트럼으로 나누면 많은 밝은 선, 즉 휘선이 나타난다. 이를 선 스펙트럼이라고 한다.[1] 선 스펙트럼은 원자로부터 나오는 빛으로, 원자가 고유의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다. 원자 스펙트럼은 원자 기체 또는 증기가 전자와 충돌하여 들뜨고, 빛을 방출하면서 나타난다.[1]
원소의 선 스펙트럼을 해석하면 원소의 여러 가지 상태를 알 수 있다. 이는 원자 물리학, 더 나아가 양자론의 기초가 된 중요한 실마리 중 하나이다.[1]
위 그림은 가시 광선 수소 방출 스펙트럼과 철의 방출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방출 스펙트럼은 각 화학 원소의 주기율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재료의 조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한 가지 예는 천문학적 분광학으로, 수신된 빛을 분석하여 별의 조성을 식별하는 것이다.
일부 원소의 방출 스펙트럼 특성은 불꽃 반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금선을 질산 나트륨 용액에 담갔다가 불꽃에 넣으면 나트륨 원자가 호박색 노란색을 방출한다. 마찬가지로 인듐을 불꽃에 넣으면 불꽃이 파란색이 된다.
'''방출 분광법'''은 원자 또는 분자가 들뜬 상태에서 더 낮은 에너지 상태로 전이되는 동안 방출되는 광자의 파장을 조사하는 분광법 기술이다. 각 원소는 전자 구조에 따라 특징적인 일련의 이산 파장을 방출하며, 이러한 파장을 관찰하여 샘플의 원소 조성을 결정할 수 있다.
3. 1. 선 스펙트럼
기체를 유리관에 넣어 마개를 막고 압력을 내린 전극에 고전압을 걸어 방전시키면, 네온 사인의 빨강이나 수은의 파랑과 같이 기체 특유의 색으로 빛난다. 이 빛을 분광기를 사용하여 스펙트럼으로 나누면 많은 밝은 선, 즉 휘선이 나타난다. 철이나 구리 극 사이의 빛도 마찬가지로 많은 휘선이 나타나는 스펙트럼이 된다. 이것을 선 스펙트럼이라고 한다.[1]선 스펙트럼은 원자로부터 나오는 빛으로, 원자가 고유의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다. 원자 스펙트럼은 원자 기체 또는 증기가 전자와 충돌하여 들뜨고, 빛을 방출하면서 나타나는데, 들뜨는 조건에 따라 선 스펙트럼의 강도도 변한다. 그러나 원자가 자기장이나 전계 등 외부의 영향이 없는 자연 상태에서 빛을 낼 때, 그 파장은 매우 안정되어 일정한 값이 된다.[1]
원소로부터 나오는 이러한 많은 선 스펙트럼을 해석하면 원소의 여러 가지 상태를 알 수 있다. 이는 원자 물리학, 더 나아가 양자론의 기초가 된 중요한 실마리 중 하나이다.[1]
원자가 열을 받는 것과 같이 전자가 들뜨면, 추가적인 에너지는 전자를 더 높은 에너지 궤도로 밀어 넣는다. 전자가 다시 떨어져 들뜬 상태를 벗어나면 광자의 형태로 에너지가 재방출된다. 광자의 파장(또는 주파수)은 두 상태 간의 에너지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방출된 광자는 원소의 스펙트럼을 형성한다.
원소의 원자 방출 스펙트럼에 특정 색상만 나타난다는 사실은 특정 주파수의 빛만 방출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각 주파수는 다음 식으로 에너지와 관련된다.
:
여기서 는 광자의 에너지이고, 는 그 주파수이며, 는 플랑크 상수이다.
즉, 특정 에너지를 가진 광자만 원자에 의해 방출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원자 방출 스펙트럼의 원리는 화학 불꽃 반응 결과뿐만 아니라 네온사인의 다양한 색상을 설명한다.
원자가 방출할 수 있는 빛의 주파수는 전자가 있을 수 있는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흥분되면 전자는 더 높은 에너지 준위 또는 궤도로 이동한다. 전자가 기본 레벨로 다시 떨어지면 빛이 방출된다.
위 그림은 가시 광선 수소 방출 스펙트럼과 철의 방출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수소 원자 하나만 있다면 특정 순간에 단일 파장만 관찰될 것이다. 그러나 샘플에는 서로 다른 초기 에너지 상태에 있고 서로 다른 최종 에너지 상태에 도달하는 많은 수소 원자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여러 방출이 관찰된다. 이러한 다양한 조합은 서로 다른 파장에서의 동시 방출로 이어진다.
빛은 다양한 파장의 전자기파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소 또는 그 화합물을 불꽃 또는 전기 아크로 가열하면 빛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 빛을 분광기로 분석하면 불연속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 분광기 또는 분광계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빛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기기이다. 스펙트럼은 선 스펙트럼이라고 하는 일련의 선으로 나타난다. 이 선 스펙트럼은 원소 형태의 원자에서 발생할 때 원자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각 원소는 서로 다른 원자 스펙트럼을 갖는다. 원소의 원자에 의해 선 스펙트럼이 생성된다는 것은 원자가 특정 양의 에너지만 방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결합된 전자가 임의의 양의 에너지가 아니라 특정 양의 에너지 만을 가질 수 있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방출 스펙트럼은 각 화학 원소의 주기율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재료의 조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한 가지 예는 천문학적 분광학으로, 수신된 빛을 분석하여 별의 조성을 식별하는 것이다.
일부 원소의 방출 스펙트럼 특성은 이러한 원소를 가열할 때 육안으로 뚜렷하게 보인다. 예를 들어, 백금선을 질산 나트륨 용액에 담갔다가 불꽃에 넣으면 나트륨 원자가 호박색 노란색을 방출한다. 마찬가지로 인듐을 불꽃에 넣으면 불꽃이 파란색이 된다. 이러한 뚜렷한 특성을 통해 원자는 원자 방출 스펙트럼으로 식별할 수 있다. 스펙트럼에는 자외선 및 적외선 복사선도 포함되므로 방출되는 모든 빛을 육안으로 감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방출 스펙트럼은 들뜬 기체를 분광기를 통해 직접 볼 때 형성된다.
'''방출 분광법'''은 원자 또는 분자가 들뜬 상태에서 더 낮은 에너지 상태로 전이되는 동안 방출되는 광자의 파장을 조사하는 분광법 기술이다. 각 원소는 전자 구조에 따라 특징적인 일련의 이산 파장을 방출하며, 이러한 파장을 관찰하여 샘플의 원소 조성을 결정할 수 있다. 방출 분광법은 19세기 후반에 개발되었으며, 원자 방출 스펙트럼에 대한 이론적 설명 노력은 결국 양자 역학으로 이어졌다.
분석할 관련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버너로 끌어들여 미세한 스프레이 형태로 불꽃 속으로 분산시킨다. 용매가 먼저 증발하여 미세하게 분할된 고체 입자를 남기며, 이 입자는 분자의 해리를 통해 기체 원자 및 이온이 생성되는 불꽃의 가장 뜨거운 영역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가 여기되고, 더 낮은 에너지 상태로 붕괴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광자를 방출한다. 손쉬운 검출을 위해 단색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간단하게 불꽃 방출 분광법은 단지 불꽃과 금속 염 샘플을 사용하여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정성 분석 방법은 불꽃 반응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불꽃에 놓인 나트륨 염은 나트륨 이온으로부터 노란색으로 빛나고, 스트론튬(도로 불꽃 신호탄에 사용됨) 이온은 빨간색으로 불꽃을 물들인다. 구리선은 파란색 불꽃을 만들지만, 염화물이 존재하면 녹색 불꽃(CuCl에 의한 분자 기여)을 나타낸다.
4. 방출 분광법
방출 분광법은 물질이 방출하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물질의 구성 성분과 상태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기체를 유리관에 넣어 방전시키면, 네온 사인의 빨강이나 수은의 파랑처럼 기체 특유의 색으로 빛난다. 이 빛을 분광기로 나누면 많은 휘선이 나타나는 선 스펙트럼이 되는데, 이는 원자 고유의 스펙트럼에서 비롯된다.
물리학에서 방출은 입자가 높은 에너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변환되며 빛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방출되는 빛의 진동수는 전이(transition)의 에너지에 대한 함수이며,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두 상태 간의 에너지 차이는 광자가 전달하는 에너지와 같다.
원자가 열을 받으면 전자가 더 높은 에너지 궤도로 이동하고, 다시 떨어지면서 광자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 광자의 파장은 두 상태 간의 에너지 차이에 의해 결정되며, 원소의 스펙트럼을 형성한다. 원자 방출 스펙트럼에 특정 색만 나타나는 것은 특정 주파수의 빛만 방출되기 때문이며, 이는 다음 공식으로 표현된다.
:
:여기서 는 광자의 에너지, 는 그 주파수, 는 플랑크 상수이다.
방출 분광법은 원자나 분자가 들뜬 상태에서 낮은 에너지 상태로 전이할 때 방출되는 광자의 파장을 조사하는 분광법 기술이다. 각 원소는 전자 구조에 따라 특징적인 파장을 방출하며, 이를 통해 샘플의 원소 조성을 결정할 수 있다. 방출 분광법은 19세기 후반에 개발되었으며, 원자 방출 스펙트럼에 대한 이론적 설명은 양자 역학으로 이어졌다.[1]
분석할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버너로 분산시켜 고체 입자를 만들고, 불꽃의 가장 뜨거운 영역으로 이동시켜 기체 원자 및 이온을 생성한다. 여기서 전자가 여기되고, 낮은 에너지 상태로 붕괴하며 광자를 방출한다.
4. 1. 방출 분광법의 활용
방출 분광법은 화학 원소의 주기율표에 따라 다른 방출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물질의 조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문학적 분광학에서는 수신된 빛을 분석하여 별의 조성을 식별한다.[1]몇몇 원소의 방출 스펙트럼 특성은 이러한 원소를 가열할 때 육안으로 뚜렷하게 보인다. 예를 들어 백금선을 질산나트륨 용액에 담갔다가 불꽃에 넣으면 나트륨 원자가 호박색 노란색을 방출한다. 마찬가지로 인듐을 불꽃에 넣으면 불꽃이 파란색이 된다. 이러한 뚜렷한 특성을 통해 원자는 원자 방출 스펙트럼으로 식별할 수 있다. 스펙트럼에는 자외선 및 적외선 복사선도 포함되므로 방출되는 모든 빛을 육안으로 감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방출 분광법'''은 원자 또는 분자가 들뜬 상태에서 더 낮은 에너지 상태로 전이되는 동안 방출되는 광자의 파장을 조사하는 분광법 기술이다. 각 원소는 전자 구조에 따라 특징적인 일련의 이산 파장을 방출하며, 이러한 파장을 관찰하여 샘플의 원소 조성을 결정할 수 있다.
원자를 들뜬 상태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은 많다. 형광 분광법에서는 전자기파와의 상호 작용을 사용하고, 입자 유도 X선 방출에서는 양성자 또는 기타 무거운 입자를 사용하며,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법 또는 X선 형광법에서는 전자 또는 X선 광자를 사용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샘플을 고온으로 가열하는 것으로, 이후 여기는 샘플 원자 간의 충돌에 의해 생성된다. 이 방법은 불꽃 방출 분광법에 사용되며, 1850년대에 안데르스 요나스 옹스트롬이 이산 방출선의 현상을 발견했을 때 사용한 방법이기도 하다.[1]
방출선은 양자화된 에너지 상태 간의 전이에 의해 발생하며 처음에는 매우 날카롭게 보일 수 있지만, 유한한 폭을 갖는다. 즉, 하나 이상의 빛의 파장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펙트럼선 넓어짐은 다양한 원인을 갖는다.
방출 분광법은 방출되는 빛의 특성 때문에 종종 '''광학 방출 분광법'''이라고도 한다.
4. 2. 방출 분광법의 역사
1756년 토머스 멜빌은 소금을 알코올 불꽃에 첨가했을 때 뚜렷한 색깔의 패턴이 방출되는 것을 관찰했다.[2] 1785년 제임스 그레고리는 회절 격자의 원리를 발견했고, 미국의 천문학자 데이비드 리텐하우스는 최초로 회절 격자를 제작했다.[3][4] 1821년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는 파장 분산의 원천으로 프리즘을 대체하여 분광 해상도를 개선하고 분산된 파장의 정량화를 가능하게 했다.[5]1835년 찰스 휘트스톤은 다른 금속이 그들의 스파크 방출 스펙트럼에서 밝은 선으로 구별될 수 있다고 보고하여 불꽃 분광법의 대안을 제시했다.[6][7] 1849년 J. B. L. 푸코는 동일한 파장의 흡수 및 방출 선이 모두 동일한 물질에 의한 것이며, 둘 사이의 차이는 광원의 온도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했다.[8][9]
1853년 스웨덴의 물리학자 안데르스 요나스 옹스트룀은 기체 스펙트럼에 대한 관찰과 이론을 제시했다.[10] 옹스트룀은 백열 가스가 흡수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파장의 빛나는 광선을 방출한다고 가정했으며, 조지 스토크스와 윌리엄 톰슨 (켈빈)도 유사한 가설을 제시했다.[8] 옹스트룀은 또한 수소 방출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발머 계열을 발견했다.[11][12] 1854년과 1855년, 데이비드 알터는 수소의 발머 계열에 대한 독립적인 관찰을 포함하여 금속 및 기체 스펙트럼에 대한 관찰을 발표했다.[13][14]
1859년 구스타프 키르히호프와 로베르트 분젠은 여러 프라운호퍼 선 (태양 스펙트럼의 선)이 가열된 원소의 스펙트럼에서 식별된 특징적인 방출 선과 일치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15][16] 이들은 태양 스펙트럼의 어두운 선이 태양 대기의 화학 원소에 의한 흡수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을 정확하게 추론했다.[17]
5. 방출 계수
물리학에서 방출 계수는 전자기파원에서 단위 시간당 출력되는 에너지의 계수를 의미하며,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진다. 방출 계수의 단위는 m⋅s−3⋅sr−1이다.[18]
톰슨 산란에서 하전 입자는 입사광에 의해 복사를 방출한다. 이 입자는 보통 원자 전자이며, 따라서 방출 계수는 실용적인 응용 분야를 가진다. 만약 ''X'' dV dΩ dλ가 부피 요소 dV에 의해 파장 λ에서 λ + dλ 사이의 입체각 dΩ으로 단위 시간당 산란된 에너지라면, 방출 계수는 ''X''이다. 톰슨 산란에서 ''X''의 값은 입사 플럭스, 하전 입자의 밀도 및 톰슨 미분 단면적(면적/입체각)으로부터 예측할 수 있다.
따뜻한 물체가 광자를 방출하는 것은 온도 및 총 복사 전력과 관련된 단색광 방출 계수를 가지며, 이는 때때로 두 번째 아인슈타인 계수라고 불린다.
참조
[1]
웹사이트
Spectroscopy Oil Analysis
http://www.synlube.c[...]
2017-02-24
[2]
논문
Observations on light and colours
https://babel.hathit[...]
1756
[3]
문서
Frauhofer. Jos. (1821) [https://books.google.com/books?id=k-EAAAAAYAAJ&pg=RA1-PA3 "Neue Modifikation des Lichtes durch gegenseitige Einwirkung und Beugung der Strahlen, und Gesetze derselben"] (New modification of light by the mutual influence and the diffraction of [light] rays, and the laws thereof), ''Denkschriften der Königli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u München'' (Memoirs of the Royal Academy of Science in Munich), '''8''': 3–76. * Fraunhofer, Jos. (1823) [http://gallica.bnf.fr/ark:/12148/bpt6k15083w/f353.image "Kurzer Bericht von den Resultaten neuerer Versuche über die Gesetze des Lichtes, und die Theorie derselben"] (Short account of the results of new experiments on the laws of light, and the theory thereof) ''Annalen der Physik'', '''74'''(8): 337–378.
[4]
논문
A geological history of reflecting optics
2005-03
[5]
간행물
Spectroscopy in Astronomy
http://cnx.org/conte[...]
OpenStax CNX
2016-09-29
[6]
서적
Sir Charles Wheatstone FRS: 1802-1875
https://books.google[...]
IET
2001
[7]
서적
Report of the Fifth Meeting of the British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Held at Dublin in 1835. Notices and Abstracts of Communications to the British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t the Dublin Meeting, August 1835.
John Murray
1836
[8]
문서
Brand, pp. 60–62
[9]
논문
Lumière électrique
https://www.biodiver[...]
1849
[10]
논문
Optiska undersökningar
https://babel.hathit[...]
1852
[11]
논문
Early Spectroscopy and the Balmer Lines of Hydrogen
2005
[12]
문서
(Ångström, 1852), p. 352; (Ångström, 1855b), p. 337.
[13]
논문
Spectrum Analysis Discoverer?
2003
[14]
논문
On certain physical properties of light, produced by the combustion of different metals, in the electric spark, refracted by a prism
https://babel.hathit[...]
1854
[15]
논문
Gustav Kirchhoff (1859) [https://books.google.com/books?id=CMgAAAAAYAAJ&pg=PA662 "Ueber die Fraunhofer'schen Linien"] (On Fraunhofer's lines), ''Monatsbericht der Königlichen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u Berlin'' (Monthly report of the Royal Prussian Academy of Sciences in Berlin), 662–665.
[16]
논문
Ueber die Fraunhofer'schen Linien
https://zenodo.org/r[...]
1860
[17]
논문
Ueber das Verhältniss zwischen dem Emissionsvermögen und dem Absorptionsvermögen der Körper für Wärme und Licht
https://zenodo.org/r[...]
1860
[18]
서적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Pearson Education
[19]
서적
An Introducion to Modern Astrophysics
Pearson Educ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